해양수산부 공고 제2022-753호 |
2022년도 극지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공고
2022년도 극지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참가자를 모집, 선정하고자 하오니, 관심 있는 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2022년 06월 28일 해양수산부장관 |
목 적
❍ 미래 극지활동 전문가 양성을 위해 우리나라 국적의 대학원생(재학, 휴학, 수료, 졸업예정자 포함) 및 학부 졸업자(졸업 예정자 포함) 대상 극지 관련 교육기회 제공
사업 수행기관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프로그램 대상
❍ 우리나라 국적의 대학원생(석·박사과정 재학생·휴학생 포함, 수료생의 경우 수료 시점으로부터 1년 이내)
❍ 학부졸업예정자(‘23년 2월 내 학부 졸업예정자)
❍ 학부 졸업자(학부 졸업 시점으로부터 1년 이내)
모집 인원 : 20명 내외
내 용
❍ 기 간 : 2022년 8월 25일 ~ 12월 9일(약 4개월)
❍ 프로그램 : 온라인 교육 수강, 교수진 및 전문가 세미나, 국내 극지기관 견학, 북극협력주간(12월, 부산) 참석, 성과발표회 등
* 세부 프로그램은 별첨 프로그램 전체 일정 등 참조
응모자격
❍ 전공 범위 : 전공 불문(극지 관련 전공자 우대)
❍ 학력 기준
- 우리나라 국적의 대학원생(석·박사과정 재학생·휴학생 포함, 수료생의 경우 수료시점으로부터 1년 이내)
- 학부졸업예정자(‘23년 2월 내 학부 졸업예정자)
- 학부 졸업자(졸업 시점으로부터 1년 이내)
추진일정 * 접수 일정은 변동가능, 변동 시 개별 통보
❍ 공고 및 접수 기간 : 2022년 6월 28일(화)~7월 25일(월)
* 필요 시 2주 내 공고 기간 연장 가능
- 공고 : 해양수산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극지이야기 홈페이지
- 접수 : 7월 25일(월) 18:00까지 전자메일로 제출(weekly_kmi@kmi.re.kr)
❍ 제출 서류
① (필수) 참가 신청서 1부 (붙임 양식1) ② (필수) 개인정보 수집․활용 동의서 (붙임 양식 2) ③ (필수) 재학증명서 또는 졸업/수료/휴학 증명서 1부 ④ (필수) 자기소개서 (붙임 양식 3) ⑤ (선택) 영어 성적증명서 * 영어 성적증명서가 없을 경우, 어학연수 또는 유학 증명서 등 어학(영어) 능력을 증명할 수 있는 문서 제출 가능 ⑥ (선택) 북극아카데미 수료증 1부(해당 사항 있는 경우 제출) |
* 제출서류 ①번에서 ⑥번까지 순서대로 스캔하여 한 개의 전자파일(PDF)로 첨부하여 전자메일로(weekly_kmi@kmi.re.kr) 제출(문의: 051-797-4765)
** ⑤⑥ 해당 시 제출(우대 사항)
❍ 서류전형 평가 : 2022년 7월 27일(수)
❍ 합격자 발표 : 2022년 7월 29일(금)
* 최종 합격자는 해양수산부 누리집 공고 및 개별 통지
참가자에 대한 제공 편의사항
❍ 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경비(교재비, 교통비, 식비 등) 지원
❍ 논문 등 최종 성과물 제작에 필요한 비용 지원
* 세부 프로그램은 별첨 참조
성과물
❍ ‘자유 형식’의 창작물 : 논문, 극지창업아이템, 정책제안 등
❍ 프로그램 성과 보고서
특전 * 코로나19, 사업여건 등 대내·외 상황에 따라 변경 가능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원장 명의 수료증 수여
❍ 우수 수료생 1인 차년도 ‘북극서클 총회’ 참석 기회 제공
* 우수 수료생은 프로그램 참여도, 프로그램 성과 평가, 논문 등 과제 성과 평가 등을 통해 선정(1인)하며, 연구기관 인턴십 프로그램 시행 시 최우선 기회 제공
❍ 우수자 최종 과제물(논문) 국내 등재학술지에 게재 추진
❍ 극지 관련 논문 작성 시 논문 게재료 및 심사비 지원(사후지원) 등
유의사항
❍ 선정 결과 발표 이후, 제출 서류의 전체 또는 일부를 위조․변조하거나 허위기재한 경우 등 부정한 방법으로 선정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대상자 선정을 취소할 수 있음
❍ 프로그램 기간 중 또는 종료 후 제출서류가 허위임이 밝혀질 경우 참여를 중단하고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으며, 이때 제반 비용은 참가자의 부담으로 함
❍ 프로그램 참가자는 프로그램 종료과 더불어 공지한 기한 내에 사업 수행기관에 결과물을 제출하여야 함
❍ 기타 사항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북방극지연구실 유지원 연구원(051-797-4765)에게 문의하시기 바람
Ⅰ. 프로그램 개요
□ 온라인 교육 수강
○ 국내외 북극/남극 분야별 전문가 동영상 강의 수강
※ 예상 커리큘럼 ○ (항로) 북극항로, 북극 교통 및 기타 인프라, 북극 투자·개발, 북극 내수로 ○ (거버넌스) 극지 법 제도 ○ (관광) 극지관광 ○ (국제 협력) 극지 국제협력, 북극 원주민의 권리 ○ (정치) 국제 거버넌스, 북극권 분쟁 등 ○ (과학) 자연환경, 기후, 동토층의 변화 및 과학기지 수행 연구 소개 ○ (문화) 북극권 원주민의 문화 |
□ 글로벌 북극 MOOC 프로그램 수강
○ 해외 북극 온라인 강의프로그램인 ‘글로벌 북극 온라인 프로그램 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 수강 (상세 내용 p.8 설명자료 참조)
□ 그룹 멘토제 운영
○ 프로그램 운영 기간 중 분과별 전문성을 고려해 멘토를 위촉해 운영
○ 일정 수의 참가자를 한 조로 멘토와 함께 자율적으로 밀착형 심화 학습 추진
□ 주요 국내대학 극지 관련 교수진 초청 세미나
○ 1일 과정으로 월 1회 총 4회 실시
○ 분야별 전문 교수진의 심도 있는 주제 강의 및 토론
□ 국내 극지 주요기관 견학
○ 교수진 초청 세미나와 병행
* 견학 예정 기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극지연구소,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국립해양조사원 등
□ 논문 및 성과발표회 * 과제별 교수님 멘토링 예정
○ 프로그램 참여자가 수행하는 1과제(논문, 극지정책보고서, 극지창업아이템 등 중 택1)에 대한 성과발표회를 개최하여 우수학생 선정에 반영
□ 프로그램 전체 일정
구분 | 교 육 분 야 | 일 정 | 진행 방식 |
1 | OT 겸 워크숍 | 8월 25일∼26일 (1박 2일, 부산) | 프로그램 시작 전 참가자들과 멘토 교수 및 기타 극지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오프라인 워크숍 진행 상세 프로그램 일정 공지, 멘토-멘티 그룹별 매칭, 멘토 교수 강연 등 예정 |
2 | 온라인 강의 | 프로그램 개시~ 11월 말까지 | 개별 온라인 수강 극지 분야별 기본지식 및 소양 신규 강의 추가 및 강의 동영상 변동 가능성 있음 |
3 | 글로벌 북극 MOOC 프로그램 | 프로그램 개시~ 11월 말까지 | 개별 온라인 수강 후 수료증 발급 |
4 | 그룹 멘토제 (분야별 멘토링) 운영 | 프로그램 개시~ 프로그램 종료 시 까지 | 참가자 전공, 수요 등을 고려해 6개 내외의 분야별 그룹(그룹별 5인 내)으로 나누어 멘토 교수님 1인 배정 운영 교수님과 1:1 멘토링을 통해 정책,과학, 산업 등 분야별 전문성 강화 |
5 | 멘토링 그룹별 세미나 및 자율 활동 | 프로그램 개시~ 프로그램 종료 시 까지 | 그룹별 자율적으로 운영 그룹별 수요에 따라 회의, 세미나,워크숍, 전문가 초청 강의 등 자율적으로 운영 가능 각 그룹당 1회 전문가 초청 혹은 기관 견학 및 방문 등 진행 가능 |
6 | 교수/전문가 초청 세미나 | 8월부터 매월 1회 (마지막 주 목요일) | 정책, 과학, 산업 등 주제별로 매월1회 전문가 세미나 온-오프라인 운영
* 코로나-19 등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
7 | 극지 기관 견학 | 8월부터 매월 1회 (마지막 주 목요일) | 교수/전문가 초청 세미나와 병행하여 극지 기관 견학, 세미나 운영 |
8 | 성과발표회 및 수료식 | 12월 5~9일 사이 | 북극협력주간(12월2주, 잠정)에서 진행 예정 그룹 멘토제를 통해 진행된 개별과제에 대한 성과 발표 수료식과 병행 진행 |
* 프로그램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Ⅱ. 극지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 온라인 강의 세부내용
No. | 분 야 | 주 제 | 강 사 |
1 | 북극정책 1 | 국제 북극 거버넌스 | UiT the Arctic University of Norway 교수 |
2 | 북극정책 2 | 북극과 인류안보 | UiT The Arctic University of Norway 교수 |
3 | 북극정책 3 | 북극을 위한 청년 네트워크 | 북극이사회 CAFF(북극동식물보존)워킹그룹 사무국 |
4 | 북극정책 4 | 북극과학과 국제협력 | 극지연구소 KOPRI |
5 | 북극정책 5 | 북극 거버넌스와 우리나라 북극정책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KMI |
6 | 북극정책 6 | 북극규범 | 외교안보연구소 |
7 | 북극정책 7 | 북극 원주민 협력 및 지원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KMI |
8 | 북극정책 8 | CAOFA 협정 체결 및 향후 전망 | 극지연구소 KOPRI |
9 | 북극과학 1 | 북극과 이노베이션 | 주한 덴마크대사관 이노베이션 센터장 |
10 | 북극과학 2 | 북극과 기후변화 | 부경대학교 교수 |
11 | 북극과학 3 | 한국의 아라온과 과학기지 | 극지연구소 KOPRI |
12 | 북극과학 4 | 북극원격탐사 | 극지연구소 KOPRI 선임기술원 |
13 | 북극과학 5 | 모자익(MOSAiC) 프로젝트 | MOSAiC USA Education Team 교수 |
14 | 남극정책 1 | 우리나라 남극연구 역사와 정책 | 극지위원회 |
15 | 남극정책 2 | CCAMLR | 극지연구소 KOPRI |
16 | 남극정책 3 | Environmental Protocol(CEP) | 극지연구소 KOPRI |
17 | 남극정책 4 | ATCM | 극지연구소 KOPRI |
18 | 남극과학 1 | 극한지 첨단 과학기술 -무인드론 | 극지연구소 KOPRI |
19 | 남극과학 2 | 남극생물I (해양생물&식물) | 극지연구소 KOPRI |
20 | 남극과학 3 | 남극생물II (펭귄&포유류) | 극지연구소 KOPRI |
21 | 남극과학 4 | 기후변화 (해수면 상승 중점) | 극지연구소 KOPRI |
22 | 극지산업 1 | 북극의 재생에너지 | Institute of the North 사무국장 |
23 | 극지산업 2 | 북극의 지속가능한 경제 | Arctic Economic Council(북극경제이사회) |
24 | 극지산업 3 | 북극과 이노베이션 | 주한 덴마크대사관 이노베이션 센터 |
25 | 극지산업 4 | 북극항로와 4차산업혁명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KMI |
26 | 극지산업 5 | 북극관광 | UiT the Arctic University of Norway 교수 |
27 | 극지산업 6 | 북극항로 | 북극이사회 PAME(북극해양환경보호)워킹그룹사무국 |
28 | 극지산업 7 | 북극대학연합체 | UArctic |
29 | 극지산업 8 | 극지에서의 자율운항선박 적용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KMI |
30 | 극지산업 9 | 극지탐험의 역사와 문화 | 극지해양미래포럼 |
* 강의 주제와 강사진은 변경될 수 있음
Ⅲ. 글로벌 북극 MOOC* 프로그램 * MOOC : Massive Open Online Course
□개요
○ 본 프로그램은 스위스 주재 북극 교육협력 기관인 ‘글로벌아틱(GlobalArctic)’이 트롬소대학, 헬싱키대학, 라플란드 대학 등 북극권 주요 대학과 연합하여 운영
○ 북극 및 비북극권 국가의 전문가가 기후변화, 지속가능한 개발, 환경, 자원, 거버넌스 등 북극에 대한 소개하는 온라인 강의로 구성된 교육 프로그램 운영
□프로그램 세부 사항
○ 기간 : 4주, 주4-5시간 (1강의 당 약 10분~15분 소요/ 총 31강)
○ 언어 : 영어
○ 수료조건 : 전과정 수강(회원가입(무료)→ 강의수강→ 퀴즈 응시 및 정답률 80%이상 시 통과→ 최종시험)
○ 강사 : Matthias Finger 교수(로잔연방공과대학/스위스)
□교육프로그램
○ 1주차
주제 | 섹션 |
Introduction to the MOOC | Introduction to the GlobalArctic MOOC |
EARTH SYSTEM DYNAMICS | Introduction to the week |
Global warming and its effects on the Arctic |
Climate effects of other pollutants (black carbon, methane) |
Global warming, permafrost thawing and its effects on the Arctic |
Impacts of global warming on Arctic biota |
The effects of Arctic climate change on the Earth system |
Impacts of Arctic climate change on the world |
Conclusion to the week 1 |
○ 2주차
주제 | 섹션 |
Arctic resources and the quest for them | Introduction to the Week 2 |
Oil, gas and coal resources exploitation in the Arctic |
2.3 Mineral resource exploitation in the Arctic |
Arctic Fisheries in an uncertain future |
The opening of the Arctic to commercial shipping |
Infrastructure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
Tourism |
Conclusion to the week 2 |
○ 3주차
주제 | 섹션 |
The evolving image and significance of the Arctic from early colonization to the ultimate industrial frontier | Introduction to the week 3 |
The Arctic as frontier |
Early industrialization of the Arctic |
The Arctic of the Cold War |
The Post-Cold War Arctic |
The Asian Arctic |
Conclusion to the week 3 |
○ 4주차
주제 | 섹션 |
Actors and governance in the Arctic | Introduction to the week 4 |
The colonized Arctic and the indigenous peoples |
Russia and Norway: Bilateral relations in the Arctic |
The Arctic 8 (Arctic Council and observers) |
China and the Arctic |
Europe and the Arctic |
UNCLOS and legal regime in the Arctic |
Conclusion to the week 4 and Final Words |
1. 인 적 사 항 | 성 명 | | 생년월일 |
|
학 교 (전공) | | 연락처 |
|
재학상태 | 재학/휴학/수료 | 이메일 |
|
주 소 |
|
위 본인은 해양수산부(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 시행하는 극지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 과정에 소정의 서류를 구비하여 지원합니다.
붙임 1. 개인정보 수집․활용 동의서 1부 (양식 2) 2. 재학증명서 또는 졸업(수료)증명서 1부 3. 자기소개서 1부 (양식 3) 4. 영어 성적증명서(또는 어학증명서, 유학증명서 등) 1부(해당사항 있을시) 5. 기타 증빙서류 1부(해당사항 있을시)
2022년 월 일
신 청 인 서명
해양수산부장관(한국해양수산개발원장) 귀하 |
개인정보 수집․활용 동의서 해양수산부(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는「개인정보보호법」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개인정보 보호지침」에 의거,「극지전문인력양성」프로그램의 연수 대상자 신청, 선정 및 연수 진행 등과 관련하여 귀하의 개인(신상)정보를 아래와 같이 수집․활용하고자 합니다. 충분히 읽어 보신 후, 동의 여부를 체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수집․활용 목적
(1) 해수부(한국해양수산개발원)는 다음의 목적으로 신청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합니다.
- 연수 참가 신청서 접수, 심의시 신청자 확인, 심의결과 통보
- 연수 최종선발자에 대한 연수 진행(해당 대학 등에 관련 정보 제공 등)
(2) 해양수산부(한국해양수산개발원)는 사업수행 및 법률상 의무 이행을 위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기 목적 외 다른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활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 공개하지않습니다.
2. 수집․활용 개인정보
[필수 정보] 대상 | 수집·활용 정보 | 비고 | 신청자 | 이름, 생년월일, 학교, 연락처, 주소, 전자우편(이메일), 주민등록번호 및 여권번호(최종선발자에 한함) |
|
[선택 정보] 어학성적, 경력 등 자기소개서상의 기타 개인정보
3. 개인정보 보유․활용 기간
(1) 개인정보는 정보 제공자가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해 동의한 날로부터 보유하며, 동의를철회하는 경우 해당 개인정보는 관련 법규에 의거하여 지체없이 안전하게 파기됩니다.(개인정보보호법 시행령 제16조)
(2) 수집·이용 동의를 받은 프로그램 지원자의 개인정보는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3년간 보유 후 파기됩니다.
(3) 타 법령상 의무이행, 민원 처리 등에 필요한 경우에는 보존기간을 초과하여 보유·이용될 수 있습니다.
4. 동의 거부 권리 및 거부할 경우의 불이익
(1)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을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2) 동의 거부에 따른 불이익 상기 개인정보는 사업 진행과정에 반드시 필요한 정보이므로수집·활용을 거부하실 경우 참가 신청이 불가능함을 알려드립니다. |
본인은 이 동의서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였으며, 「개인정보보호법」등 관련 법률에 의거하여 본인은 위와 같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제3자 제공에 동의함.
○ 필수 : 개인정보 수집·활용 (☐ 동의합니다 ☐ 동의하지 않습니다) ○ 선택 : 개인정보 수집·활용 (☐ 동의합니다 ☐ 동의하지 않습니다) ○ 고유 : 식별정보 수집·활용 (해당사항 없음) 2022년 월 일 성명 : (서명 또는 날인) |
지원동기 |
|
극지 관련 경험 · 경력 |
|
프로그램 참여 시 계획 |
|
프로그램 수료 이후 계획 |
|